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roducer
- It
- spring boot
- back-end
- state
- Sequelize
- 개발자
- component
- AWS
- front-end
- swagger
- javascript
- class
- 개발이 취미인 사람
- java
- vue
- node.js
- file upload
- Nest.js
- react
- 반복문
- SWIFT
- Kotlin
- 코틀린
- restful api
- jpa
- kafka
- 상속
- 조건문
- props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Auto Scaling (1)
개발이 취미인 사람
[AWS] EC2 Auto Scaling 개념 및 설정
- 개요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EC2 Auto Scal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WS Auto Scaling은 정책(내가 정의한 법)에 따라서 시스템을 자동으로 늘리고 줄여주는 서비스입니다. 대표적인 EC2 인스턴스를 내가 정의한 설정에 따라 서버를 늘리고 줄여줄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동작 방식을 설명하면 하나에 서버에 트래픽이 폭주하면 해당 서버에 CPU 사용률은 점점 높아집니다. 그러다, CPU 점유율이 내가 지정한 값을 몇 분간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미리 준비된 이미지(AMIs)를 이용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ELB에 연결해 트래픽을 새로 생성한 EC2 인스턴스에 분산합니다. 만약, 트랙픽이 줄어들면 CPU 사용률이 줄어들면 EC2 인스턴스가 순차적으로 제거됩니다. 신기하죠?ㅎ 저도 실..
백앤드(Back-End)/AWS
2021. 4. 3. 1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