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vue
- AWS
- 상속
- Nest.js
- Producer
- file upload
- SWIFT
- 반복문
- swagger
- It
- Sequelize
- front-end
- node.js
- Kotlin
- 코틀린
- spring boot
- class
- 조건문
- component
- back-end
- java
- props
- state
- react
- jpa
- restful api
- kafka
- 개발이 취미인 사람
- javascript
- 개발자
- Today
- Total
목록2024/11 (5)
개발이 취미인 사람
개요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JPA에서 조회 및 쓰기 그리고 수정 동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차 캐시, 쓰기 저장소, 변경 감지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도 같이 설명하겠습니다. 혹시 지난 시간에 내용을 학습하고 오시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학습하고 오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JPA] - 영속성 컨텍스트(1) [JPA] - 영속성 컨텍스트(1)개요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JPA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 내용을 학습하고 오시지 못하신 분들은 학습하고 오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 [JPA] - 기본 동작 방식과any-ting.tistory.com 1차 캐시JPA 영속성 컨텍스트 안에는 1차 캐시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1차 캐시라는 개념은 실제 우리가 생각하는 캐시 ..
개요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JPA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 내용을 학습하고 오시지 못하신 분들은 학습하고 오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 [JPA] - 기본 동작 방식과 단순 CRUD [JPA] - 기본 동작 방식과 단순 CRUD개요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JPA에서 기본적인 동작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동작 방식JPA에는 기본적으로 Persistence 라는 클래스를 통해 설정 정보를 가져와 EntityManagerFactory를 만듭any-ting.tistory.com 영속성 컨텍스트란?영속성 컨텍스트라는 단어를 딱 들었을 때 무슨 말이 생각이 나시나요? 저는 머릿속에 잘 그려지지 않아 무식하게 그림으로 외웠던 같아요. 간단하게 말해서 영속성은 데이터를 오랫동안..
개요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JPA에서 기본적인 동작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동작 방식JPA에는 기본적으로 Persistence 라는 클래스를 통해 설정 정보를 가져와 EntityManagerFactory를 만듭니다.그 후 필요에 따라 EntityManger를 생성해서 CRUD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EntityManger는 간단하게 생각해서 DB Connection을 하나 생성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EntityManagerFactory는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공유해서 사용합니다. 하지만 EntityManger는 쓰레드 간에 공유를 하면 안됩니다. 그리고 JPA에서 모든 데이터 변경은 트랜잭션 안에서 실행되어야 동작합니다. 단순 CURD1. Entity 생성imp..
개요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컨슈머 파티션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 내용을 놓치고 오신 분들은 학습하고 오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 [Kafka] - Consumer 스태틱 멤버십개요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스태닉 멤버십이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 내용을 놓치고 오신 분들은 학습하고 오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Kafka] - Consumer 그룹 코디네이any-ting.tistory.com 파티션 전략이전 프로듀서 학습을 하면서 파티셔너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간단하게 파티셔너는 메시지를 특정 토픽의 어느 파티션으로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와 비슷하게 컨슈머의 동작에서도 특정 토픽의 어느 파티션으로부터 메시지를 읽어 올지를 결정합니다. 컨슈머 ..
개요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스태닉 멤버십이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 내용을 놓치고 오신 분들은 학습하고 오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Kafka] - Consumer 그룹 코디네이터 [Kafka] - Consumer 그룹 코디네이터개요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 Consumer 그룹 코디네이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afka Consumer 기본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 오지 못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학습하고 오시는 걸 추천드리겠습any-ting.tistory.com 스태틱 멤버십스태틱 멤버십(Static membership)이란 컨슈머 그룹이 불필요한 리밸런싱을 하지 않기 위한 옵션입니다. 하나의 컨슈머가 재시작되면 전체 리밸런싱이 일어나며, 리밸런싱 작업이 일어나는 동안 컨슈머들..